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<%@ include file="" %> <jsp:include> <c:import> 차이

728x90

1. 스크립트 태그

<%@ include file=""%>

- 정적 include 방식

- include 하는 jsp 파일내에 복사되어 같이 컴파일된다.

- include 되는 jsp 파일 내 전역변수를 상위 jsp 에서 사용 가능하다.

 

Web container가 jsp를 servlet으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태그

각각의 tab이 include 된 경우에는
로드 시 1페이지 2페이지 3페이지 4페이지 5페이지를 모두 그린 뒤에
다시 1페이지를 로드하는 방식으로 한다.
따라서 함수를 하나만 만들고 파라미터를 지정해야 한다.
만약 각 페이지별로 함수를 만들 경우에는 같은 이름의 함수가 여러 개 존재하여 함수 실행이 되지 않는다.

따라서 공통 jsp 인 stdWordMng_lst.jsp에 함수를 지정하고
파라미터를 받도록 한다.



<%@page %>
페이지의 기능, 특징을 지정한다.
<%@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" charset="UTF-8" pageEncoding="UTF-8"%>
 
import
contentType
session
errorPage
 
 
<%@include %>
jsp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를 포함시킨다.
<%@include file="user.jsp" %>
 
<%@taglib %>
jsp 페이지에서 사용할 custom tab 라이브러리를 등록한다.
<%@taglib prefix="c" uri="http://java.sun.com/jsp/jstl/core" %>
또는 <%@taglib prefix="tiles" uri="http://tiles.apache.org/tags-tiles"%>

 

 

 

 

 

2. 액션 태그

<jsp:include page=""/>

- 동적 include 방식

- include 되는 jsp 파일의 출력결과(Html 코드)만 포함한다.

- include 되는 jsp 파일의 변수 사용이 불가하다.

- <jsp:param> 태그로 값 전송이 가능하다.

 

 

 

 

3. JSTL

<c:import url=""/>

- 동적 include 방식

- include 되는 jsp 파일의 출력결과(Html 코드)만 포함한다.

- 외부자원 사용 가능

- <c:param> 태그로 값 전송이 가능하다.

 

<c:import! url="include 할 파일의 URL"
     var="읽어올 데이터를 저장할 변수명"
     scope="변수의 공유 범위"
     varReader="리소스의 내용을 Reader 객체로 읽어올 때 사용"
     charEncoding="읽어온 데이터의 캐릭터셋 지정" />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https://m.blog.naver.com/halowd/221686425368

 

# <%@ include file="" %> <jsp:include> <c:import> 차이

# <%@ include file="" %> <jsp:include> <c:import> 차이 (1) 스크립...

blog.naver.com